Js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2 == 동등 연산자로 좌항과 우항을 비교해서 서로 값이 같다면 true 다르다면 false가 된다. '='가 두개인 것을 주의하자. '='가 하나인 것은 대입 연산자로 우항의 값을 좌항의 변수에 대입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. === 일치 연산자로 === 좌항과 우항이 '정확'하게 같을 때 true 다르면 false가 된다. 여기서 정확하다는 말의 의미에 집중하자. 아래 예를보자. alert(1=='1'); //true alert(1==='1'); //false '==='는 숫자 1과 문자 1을 다르게 인식한다. 반면에 '=='는 양쪽의 값을 같다고 판단한다. 바로 이것이 '정확'의 의미다. 즉 ===는 서로 같은 수를 표현하고 있더라도 데이터 형이 같은 경우에만 같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.. 1 ctrl + shift + j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가 붙지 않은 숫자는 숫자로 인식한다. Math.pow(3,2); // 9, 3의 2승 Math.round(10.6); // 11, 10.6을 반올림 Math.ceil(10.2); // 11, 10.2를 올림 Math.floor(10.6); // 10, 10.6을 내림 Math.sqrt(9); // 3, 3의 제곱근 Math.random(); // 0부터 1.0 사이의 랜덤한 숫자 숫자를 따옴표로 감싸면 문자가 된다. 아래는 문자다. typeof는 값의 데이터 형을 알려주는 기능이다. alert(typeof "1") \를 ' 앞에 위치시키면 ' 를 문자열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가 아니라 단순히 문자로 해석하도록 강제 할 수 있다.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