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/study (7)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 4주차 - 마무리 예외처리 :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는 것을 말하며, 예외로 인해 시스템 동작이 멈추는 것. try ~ catch fianlly throws 입력과 출력 FileInputStream / FileOutputStream : read(); // 1byte씩 읽음 read(byte[]); // []byte씩 읽음 write(byte[] b); // 전체 쓰기 write(byte[], int off, int len); // off - 시작, len - 길이 DataInputStream / DataOutputStream : DataInputStream -> InputStream / DataOutputStream -> OutputStream BufferedReader / BufferedWriter : BufferedRe.. Java 4주차 - 상속 및 클래스 (2) 추상 클래스 : 클래스의 공통된 부분을 뽑아서 별도의 추상 클래스로 만들어 놓고 상속해서 사용. : 멤버 변수 가짐. extends로 상속. 일반 메서드도 가능. 생성자도 있음. abstract 메서드를 가지며, 상속한 클래스에서 꼭 구현해야 함. 인터페이스 vs 추상 클래스 공통 : 추상 메서드를 가짐. 객체 생성 불가, 자료형으로 사용됨. 차이 : 인터페이스 - 상수, 추상 메서드만 가짐. 추상 메서드를 구현만 하도록 함. 다형성 지원. 추상 클래스 - 클래스가 가지는 모든 속성과 기능을 가짐. 추상 메스드 구현 및 상속의 기능을 가짐. 단일 상속만 지원. 람다식 : 익명 함수를 이용해서 익명 객체를 생성한다. 문자열 클래스 String 객체와 메모리 StringBuffer, StringBuilder.. Java 3주차 - 상속 및 클래스 (1) 상속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extends 단일 상속만 가능 private 속성과 메서드는 사용 불가 메서드 오버라이드: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해 사용한다 클래스도 자료형임 (arr) object = 최상위 클래스 : 모든 클래스는 오브젝트를 상속하고 있다 super = 상위 클래스 호출한다 내부 클래스와 익명 클래스 내부 클래스(inner class): 클래스 안에 또 다른 클래스 선언. 익명 클래스(anonymous class): 이름이 없는 클래스. 메서드 재정의.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에서 주로 이용.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 불가. 클래스에서 구현해야 하는 작업 명세서. 객체가 다양한 자료형을 가질 수 있다. Java 3주차 - 객체 (2) 객체와 메모리 객체는 동적으로 메모리에 생성. 레퍼런스가 사라지면 GC(Garbage Collector)에 의해 제거됨. ChildClass child = new ChildClass(); 생성한 객체의 주소를 가지는 변수: class가 같다고 해서 같은 래퍼런스를 가지지 않음. 레퍼런스에 null이 저장되면 연결이 끊김: 연결이 끊기는 거지 레퍼런스가 사라지는 건 아님. 생성자와 소멸자 그리고 this 키워드 디폴트 생성자: 객체가 생성될 때 가장 먼저 호출되는 생성자. 개발자가 명시하지 않아도 컴파일 시 자동 생성. 소멸자: 객체가 GC에 의해 메모리에서 제거될 때 finalize() 메서드가 호출된다. this: 자신을 가리킴. 패키지와 static 패키지: 클래스를 폴더 형식으로 관리하는 것 최상단.. Java 2주차 - 객체 (1) 객체 (1)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 클래스 제작과 객체 생성 생성자: 메소드명이 클래스명과 동일하고 리턴 자료형이 없는 메소드. 객체 생성 시 호출되어 객체를 초기화. new를 이용해서 객체를 생성한다. 메서드 매개변수를 다르게 해 오버로딩이 가능하다. public : 외부 호출 가능 private: 외부 호출 불가능 Java 2주차 - 기초 문법 (2) 기초 문법 (2) 배열 인덱스를 이용해서 자료형이 같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다. 자바에서는 한 번 크기가 정해지면 변경 불가능. 조건문 조건의 결과에 따라서 양자택일(if문) 또는 다자택일(switch문)을 한다. 반복문 프로그램 진행을 특정 조건에 따라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. for문, while문 : 조건이 참일 때까지 반복 수행 do-while문 : 무조건 최초 한 번은 수행 Java 1주차 - 기초 문법 (1) 들어가기 ctrl + space bar => 자동 완성 ex) main + ctrl space bar =>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} // 메인 메소드 sysout + ctrl space bar => System.out.println(); 기초 문법 (1) 변수 자료형 기본 자료형 = 변수에 데이터 직접 저장 객체 자료형 = 변수에 객체 메모리 주소 저장 C계열에서는 포인터, Java에서는 레퍼런스 묵시적 형변환은 작은 메모리에서 큰 메모리로 이동하지만 명시적 형변환은 큰 메모리에서 작은 메모리로 가기 때문에 데이터 누실이 일어날 수 있다. 특수 문자와 서식 문자 특수 문자 서식 문자 \t : 탭 %d : 10진수 \n : 줄 바꿈 %o : 8진수 \' : .. 이전 1 다음